본문 바로가기
IT 기초

게이트, 컴퓨터를 구성하는 기본단위(2)

by TechGuru 2024. 2. 24.

목차

    병렬 스위치와 OR 게이트

    이번에는 병렬로 연결된 두 스위치를 포함한 논리 게이트, 즉 OR 게이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병렬 연결된 스위치 구성에서는 어느 한 스위치라도 활성화되면 전구에 불이 켜집니다. 상단 스위치를 닫으면 빛이 나고, 상단 스위치를 열고 하단 스위치를 닫아도 빛이 납니다. 두 스위치가 모두 닫혀 있어도 물론 빛이 납니다. 이는 '상단 스위치 또는 하단 스위치가 닫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킵니다. 이와 같은 작동 원리로 인해, 이 구성을 OR 게이트라고 부릅니다. 전기 엔지니어링에서는 OR 게이트를 표현하기 위해 특정 기호를 사용합니다.

     

    이 기호는 입력이 둥근 부분으로 표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AND 게이트의 기호와 유사합니다.

    OR 게이트는 어느 한 입력이라도 전압이 적용되면, 출력에서도 전압이 나타납니다. 전압이 없는 상태를 '0'으로, 있을 때를 '1'로 가정할 때, OR 게이트의 작동 상태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경우로 나뉩니다.

     

    이렇게 OR 게이트의 결과도 AND 게이트와 유사하게 간단한 표로 요약할 수 있으며, OR 게이트는 두 개 이상의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버터(NOT 게이트)

    이제 우리는 스위치가 열려 있을 때 전구가 켜지는 독특한 회로 구성을 살펴볼 것입니다. 이 구성에서는 스위치가 닫힐 경우 전구가 꺼지게 됩니다.

     

    이와 같이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전구의 상태가 반대로 작동하는 회로를 '인버터' 또는 'NOT 게이트'라고 합니다. 비록 인버터는 단일 입력만을 가지며 전통적인 논리 게이트의 정의에는 맞지 않지만, 실제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버터는 특정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됩니다.

     

     

    이 회로는 입력된 전압 상태를 반대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인버터로 명명됩니다. 즉, 전압이 없는 상태('0')를 전압이 있는 상태('1')로, 전압이 있는 상태를 전압이 없는 상태로 바꾸는 기능을 합니다.